월1,000만원을 받기 위한 연봉은 얼마? 연봉에 따른 월 실수령액 정리
안녕하세요. 미니미입니다.
오늘 이야기해볼 주제는 연봉과 실수령액에 관해서 정리해드리려고 합니다.
그전에 소소하게 경재소식을 이야기해드리면,
코로나19로 인하여, 미래가 바뀌었습니다.
언택트 - 즉 대면하지 않는 것과 미래의 기술력이 합쳐저 미래에는 언택트시대가 될 것 입니다.
또한 립스틱효과도 두드려져 보입니다.
립스틱 효과란 - 경제적 불황기에 나타나는 특이한 소비패턴으로, 소비자 만족도가 높으면서도 가격이 저렴한 사치품(기호품)의 판매량이 증가하는 현상이다.
수입은 감소했지만, 특이하게도 값싼 의류상품보다는 명품이 더 많이 팔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2~30대에서는 어차피 집,차를 구매하기 힘드니 명품으로 욜로로 소비하는 성향도 있으며, 그 밖에서도 심리적 불안과 침착된 우울함을 자기만족을 위해서 명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경제가 좋지 않아도 본인의 가치,품위를 떨구기 싫기에, 사치품으로 감싸는 립스틱 효과가 현재 추세인 것 같았습니다.
이렇게 서두가 길었네요.
평소에 "연봉 1억이면 실수령액이 얼마냐?" 라는 소리를 하고는 하지요~~
또한 "월1,000만원 벌려면 연봉이 얼마나 되야되는거야?" 라는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제가 깔끔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연봉에 따른 월급 및 상세내용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연봉 | 연봉실수령액 | 월급 |
30,000,000 | 26,757,480 | 2,500,000 |
40,000,000 | 34,822,600 | 3,333,333 |
50,000,000 | 42,445,040 | 4,166,667 |
60,000,000 | 50,063,400 | 5,000,000 |
70,000,000 | 57,836,560 | 5,833,333 |
100,000,000 | 78,681,520 | 8,333,333 |
200,000,000 | 136,711,640 | 16,666,667 |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세 공제액계 월실수령액
연봉
3천 112,500 91,920 20,000 41,630 4,160 270,210 2,229,790
4천 150,000 122,560 26,660 120,210 12,020 431,450 2,901,883
5천 187,500 153,200 33,333 232,320 23,230 629,580 3,537,087
6천 218,700 183,840 40,000 350,470 35,040 828,050 4,171950
7천 218,700 214,480 46,660 485,260 48,520 1,013,620 4,819,713
1억 218,700 306,400 66,660 1,077080 107,700 1,776,540 6,556,793
2억 218,700 612,800 133,330 3,917,460 391,740 5,274,030 11,392,637
이렇게 정리를 했는데 깔끔하게 정리가 됬나요???
스마트폰으로 보면 흐트러질까봐 걱정이 되긴 하지만, 간단히 정리해드렸습다.
위에서 말한 질문에 답을 할 수 있겠네요.
연봉이 1억이라면, 실수령월급은 650만원정도 되며, 월1,000만원의 월급을 받기 위해서는 대략 연봉이 2억이되야 한다는 것입니다. ㅎㄷㄷ
서울아파트 10억짜리를 현금으로 사기 위해서는, 연봉2억으로 1년에 1억을 모은다고 가정하면 10년 걸립니다.^^
이상 미니미였습니다.